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IRC 서버
- 라즈베리파이 실습
- github
- 라즈베리 파이
- github command
- 웹사이트
- 라즈베리
- git branch
- java
- 웹 유저
- Linux
- 블로그 만들기
- 웹 서버
- batflat
- 우분투 설치
- 컴퓨터 활용능력
- 서버 백업
- 명령어
- 리눅스 사용자
- git merge
- 커맨드
- windows10
- 서버
- 리눅스 커맨드
- date
- 리눅스
- 컴활 1급
- OverTheWire
- 웹 만들기
- 라즈베리파이
- Today
- Total
목록전체 글 (187)
돌공공돌
Constructor 성질 Constructor 는 객체를 초기화 하기 위해 사용되는 특별한 메소드 타입. Constructor 는 객체 생성할 때 호출됨 Constructor 는 값을 구성해서 객체에게 데이터 제공 Constructor 만들기 위한 규칙 Constructor 는 Class 이름과 같아야 한다. Constructor 는 명시된 return 타입이 없어야 한다.
😎중요!!😎 윈도우 에서 vim 복사 및 붙여넣기 하는 방법 1. 윈도우 텍스트에서 블록을 씌운다. 2. ctrl + Insert (복사) or Shift + Delete (잘라내기) 3. Shift + Insert : 붙여넣기

vim command mode & insert mode 우선 putty에 접속해 oss 2020 이라는 디렉토리에 hi.txt 라는 파일을 vim 으로 편집해 보겠다! 저걸 입력하고, enter를 누르자 마자 보이는 화면이다. 이 화면에서 i를 누르면 insert 모드로 들어갈 수 있다. insert 모드에서는 insert 할 수 있다. 원하는 문자를 넣을 수 있다는 말이다. 자 이렇게 입력하고 나서 저장을 해야한다. 저장을 하려면 우선 esc 를 눌러 command mode 로 돌아가야 한다. 그 뒤 : 을 눌러서 command line mode 로 들어가 w 까지 누르고 enter를 누르면 된다. 참고로 나가는 건 :q를 하면 된다.! insert mode 진입 키 - i 현재 커서의 앞에서 편집 시..
혼란스럽다.. 뭐가 뭔지 모르겠다.. 사실 this 키워드에 대해 알아보다가 포기 하고 왔는데, this 키워드는 저것들 되게 되게 연관된 , 내용인 것 같다. 캡슐화 데이터를 숨기는것 클래스 바깥에서 데이터에 접근할 수 없도록 하는 것 접근자와 연관 됨 접근자 public 모든 클래스에서 접근 가능 private 해당 클래스에서만 접근 가능 protected 해당 클래스에서 접근 가능 해당 클래스를 상속받은 클래스 접근 가능 같은 package에서 접근 가능 외부 클래스 접근 불가능 일반적으로 인스턴스 변수는 private사용 메소드는 public 사용 accessor 게터 인스턴스 변수의 값을 리턴하는 역할 mutator 세터 인스턴스 변수의 값을 설정하는 역할 출처:https://dev-bear.t..

파생 클래스가 뭔지 궁금했다. 그래서 찾아봤더니,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의 주요 특징인 "상속"과 큰 관련이 있었다.// 상속(inheritance) 정의: 기존의 클래스에 기능을 추가하거나 재정의하여 새로운 클래스를 정의하는 것 기능: 상속을 이용하면 기존에 정의되어 있는 클래스의 모든 필드와 메소드를 물려받아, 새로운 클래스를 생성할 수 있다. 기존에 정의되어 있던 클래스 =부모 클래스(parent class) =상위 클래스(super class) =기초 클래스(base class) 상속을 통해 새롭게 작성된 클래스 = 자식 클래스(child class) = 하위 클래스(sub class) = 파생 클래스 (derived class) 파생클래스 생성 문법 class 자식클래스 extend 부모클래스 많..
private 과 public 은 접근 지정자 이다. 이외에도 default 와 protected 가 있다. 이 넷은 접근 제한 범위가 다르다. public protected default private 클래스 내부 (same class) o o o o 동일 패키지 (same package) o o o x 하위(파생) 클래스 (derived classes) o o x x 그 외의 영역 (other) o x x x public : 모든 영역에서 접근 가능하며, 제한이 없다. 서로 다른 클래스라 해서 오류 발생 x ex ) public float hi = 3.14; protected: 같은 패키지내에서 다른 클래스끼리는 접근이 가능하다. ex) proteced in num = 3; default 는 아무것도..
Java의 주석에 대해서 배우다가 나온 내용이다. 뭔지 모르겠어서, 정리한다. ----------------------------------------------------------------------------------------------------------------------------- Preconditon 입력 조건 함수가 call 되기 전에 무엇이 참이 되어야 하는지 나타내는 문장 함수가 호출되기 전에 참이 되어야만 하는 조건을 말하는 문장 Postcondition 출력 조건 함수가 기능하고 난 뒤 무엇이 참이어야 하는지 나타내는 문장 함수가 실행되고 나서 무엇이 참이 되어야 하는지 말하는 문장. 정의는 찾아보면, 이렇지만, 잘 와닿지 않는다. 예시를 들어가며 직접 부딪히는 것이 빠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