돌공공돌

22-04-09 본문

2022-1

22-04-09

오로시 2022. 4. 9. 10:14

데이터과학 hw4(내일 12시 팀플)

창업동아리

물리학 실험 강의 및 과제 (내일 7시 팀플)

점심 약속 (12:30~??)

EAP 과제

선형대수학 hw4 검산

데이터과학 hw5 

선형대수학 복습

 

 

 

---------------------------

 

 

 

물리학 실험

그래프 그리기

1. x-축에 표시할 물리량과 y 축에 표시할 물리량 정하기

2. 각 축에 해당하는 물리량의 범위와 단위를 확인하여 각 축의 눈금의 정하고 표시한다. 

3. 측정자료에 근거하여 data point 를 표시한다.

4. data point 의 배열이 직선이 아닌 경우, 직선이 되도록 물리량을 조정한다.

5. 오차가 표시할 수 있을 정도로 충분히 크면 오차막대를 표시한다.

6. 직선인 그래프가 그려지면 추세선을 그리고 추세선의 기울기를 구한다. 

 

기울기 구하기

데이터 포인트를 고르는게 아니라

직선위의 두 점을 고른다.

 

기울기 오차 구하기

가장 작은 기울기 구하기 ( 오차 막대 거쳐가도록 한다.)

가장 큰 기울기 구하기 ( 오차 막대 거쳐가도록 하면 된다.)

단위도 고려해야 한다.

 

s-smin 와 s-smax 중 그 차이가 큰 것을 기울기 오차로 쓴다.

 

직선이 아닌 그래프는 굳이 이을 필요 없다.

직선이  아닌 그래프를 직선으로 만들어 주고 싶다.

뭐에 비례할 것 같은지 생각해라

T^2에 비례할 것 같다. --> T^2 그래프 그리면 된다.

 

 

그래프에 표시해야 할 것

  • 그래프 이름 (수직축 - 수평축)
  • 축 이름
  • 축 단위
  • 눈금
  • 오차 막대
  • 추세선( 직선 그래프의 경우)
  • 기울기와 기울기 오차 

 

물리학 실험 --> 오차 계산 && 그래프 그리기

 

 

 

'2022-1'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2-04-11  (0) 2022.04.11
22-04-10  (0) 2022.04.10
22-04-08  (0) 2022.04.08
22-04-07  (0) 2022.04.07
통계학 정리 6-1 기준  (0) 2022.04.06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