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Tags
- 서버 백업
- 우분투 설치
- IRC 서버
- 웹사이트
- 리눅스 사용자
- git merge
- OverTheWire
- java
- 리눅스 커맨드
- 라즈베리
- 라즈베리파이
- git branch
- 블로그 만들기
- 서버
- date
- 웹 유저
- 커맨드
- 웹 만들기
- 라즈베리파이 실습
- github
- windows10
- Linux
- 컴퓨터 활용능력
- 라즈베리 파이
- github command
- batflat
- 리눅스
- 컴활 1급
- 명령어
- 웹 서버
Archives
- Today
- Total
목록server (1)
돌공공돌

백업의 필요성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습니다. 한번 파일을 날려보시면 뼈저리게 느끼실 거에요. 다들 몬지 알죠? 백업 시 고려할 점 언제 백업을 할 것인가? - 언제? 얼마나 자주? 얼마나 오래 보관? 무엇을 백업할 것인가? - 사용자 데이터 (홈디렉토리) - DB 데이터 (시스템 DB , 사용자 DB) - 시스템 설정 파일 (각 서버프로그램의 CONF 파일 등) 어디에 백업할 것인가? - 내부 백업 (여유공간이 있는 디렉토리나 외장하드) - 외부 백업 (자동전공/수동업로드) 어떻게 백업할 것인가? - 압축 파일로 백업 : tar -czpf - 비압축 저장 : cp-R, tar -cpf - 증분 백업 :rsync 자 본격적으로 서버 내용을 백업하도록 해볼게요. 백업 절차 (root로 수행해야 합니다..
IT/라즈베리파이
2020. 6. 7. 00: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