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리눅스
- 웹 만들기
- 리눅스 커맨드
- date
- 우분투 설치
- OverTheWire
- 웹사이트
- 라즈베리파이
- 웹 서버
- windows10
- 라즈베리파이 실습
- github command
- batflat
- 서버
- 웹 유저
- 리눅스 사용자
- 컴활 1급
- IRC 서버
- 컴퓨터 활용능력
- java
- 서버 백업
- Linux
- 라즈베리
- git merge
- 커맨드
- 명령어
- git branch
- github
- 라즈베리 파이
- 블로그 만들기
- Today
- Total
돌공공돌
[Git] Think about co -work! 본문
🤠 이번 연습의 목표
협업자가 최신 업데이트된 내용을 자신(협업자)의 github에 올렸을 때. 이걸 가져다가 내 버전으로 맞춰보자.!
[git pull]
git 버전 관리 연습
- git clone [fork 한 나의 remote repository]
- clone 받은 디렉토리에 이동하여, txt 파일을 만들어 본다. (테스트 용도로) git add 와 git commit 을 한뒤에
git push origin 까지 해준다. 이 때 origin 은 [ fork 한 나의 remote repository]를 가리킨다.
fork 한 나의 remote repository 상태이다.
test.txt가 정상적으로 push 되어있음을 알 수 있다.
팀원의 remote repository 와 비교해 봤을 때 test .txt가 없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1. 팀원의 remote repository 에서 내 local repository (peace) 로 pull 한다.
2. 내용을 수정한뒤 내 remote repository 로 push 한다.
3. Pull Request를 협업자의 remote repository 로 보낸다.
- 팀원의 remote repository 에서 직접 파일을pull 하기 위해 git remote add [별칭] [URL] 해준다.
- git pull [팀원의 원본 레포지토리 url] 을 한다.
- git push new(협업자 remote repository url) master 를 해본다 (혹시나 하는 마음에)
- test2.txt 를 만들어 add 하고 commit 하고 push 한다.
- push 한 내용을, 업로드된 나의 remote repository[origin] 와 협업자의 remote repository[new] 와 다르므로, Pull Request 를 보낸다.
결론 : git remote add [ 새별칭 ] [ 협업자 url] 을 해두고, 나의 로컬 레포지토리 에서 작업한뒤 나의 리모트 레포지토리로 push 하여 협업자에게 PR을 보내면, 내가 원하는 시나리오를 만들 수 있다.
'IT > Git' 카테고리의 다른 글
[Git] github page를 만들고 내용을 수정해보자! (0) | 2020.05.08 |
---|---|
[Git] Vim 설정 하기 (줄 마다 숫자달기, 숫자패드 입력하기, 한글 파일 깨짐 없애기) (0) | 2020.04.20 |
[Git] Git 과Github으로 협업하기 (0) | 2020.04.19 |
[Git] git 기본 명령어 정리 --> 퍼온 글 (*/ω\*) (0) | 2020.04.19 |
[Git] git revert && reset && rebase! (❁´◡`❁) (0) | 2020.04.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