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Tags
- 명령어
- 커맨드
- Linux
- 라즈베리 파이
- github
- 서버 백업
- 컴퓨터 활용능력
- 웹사이트
- IRC 서버
- windows10
- github command
- 블로그 만들기
- 웹 서버
- OverTheWire
- 라즈베리파이
- 리눅스
- 라즈베리파이 실습
- 웹 유저
- 컴활 1급
- java
- 리눅스 사용자
- 라즈베리
- git merge
- 웹 만들기
- 리눅스 커맨드
- 서버
- 우분투 설치
- batflat
- git branch
- date
Archives
- Today
- Total
돌공공돌
22-04-16 (데이터 구조) 본문
스택
큐
링크드리스트
트리
node : tree 에서 data를 저장하는 기본 단위 원소
root: 가장 상위의 한 개 node
branch : node 와 node간의 연결
level이 i 인 node는 최대 2^(i-1)개 이다.
height가 k인 binary tree의 최대 node 수는 (2^k -1) 개이다.
binary Tree 를 이용한 inoder, preorder, postorder traverse
#include <iostream>
using namespace std;
class node{
public:
string name;
double score;
node *left, *right;
};
//주어진 p를 root로 하는 binary tree를 inorder traverse
void inorder_traverse(node *p){
if (p==NULL) return;
inorder_traverse(p->left);
cout<<p->name<<" : "<<p->score;
inorder_traverse(p->right);
}
//주어진 p를 root로 하는 binary tree를 preorder traverse
void preorder_traverse(node *p){
if (p==NULL) return;
cout<<p->name<<" : "<<p->score;
preorder_traverse(p->left);
preorder_traverse(p->right);
}
//주어진 p를 root로 하는 Binary tree를 postorder traverse
void postorder_traverse(node *p){
if (p==NULL) return;
postorder_traverse(p->left);
postorder_traverse(p->right);
cout<<p->name<<" : "<<p->score;
}
--> 활용법
expression tree의 inorder , preorder, postorder traverse의 결과는
해당 expression의 infix,prefix, postfix이다.
-출처 : 한동대학교-
'2022-1' 카테고리의 다른 글
22-04-18 ( 데이터구조) (0) | 2022.04.18 |
---|---|
22-04-17 (데이터 구조) (0) | 2022.04.17 |
22-04-16 (통계학) (0) | 2022.04.16 |
22-04-16 (0) | 2022.04.16 |
22-04-15 (데이터 구조) (0) | 2022.04.15 |
Comments